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도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장단점

작성자

장준하 대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특히 웹사이트, 플랫폼, 전자상거래 시스템처럼 유연성과 확장성이 중요한 프로젝트일수록 클라우드는 강력한 선택지가 됩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도입은 장점만큼이나 신중히 고려해야 할 단점도 존재합니다. 이번에는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개발 및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의 실질적인 장단점을 정리했습니다.


장점 1: 인프라 확장성과 초기 비용 절감

클라우드는 물리 서버 구축이 필요 없어 초기 투자 비용이 적고, 사용량에 따라 인프라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쇼핑몰 고객사의 경우 특정 시즌에만 트래픽이 급증하는데, 클라우드를 활용해 사용량 기반 과금으로 불필요한 비용을 줄였습니다.

장점 2: 빠른 구축과 업데이트

클라우드 환경은 신규 서비스 론칭 시 인프라 셋업 시간을 대폭 줄여줍니다. 또한 CI/CD 파이프라인을 연계하면 개발-배포-모니터링 주기를 자동화해 더 빠른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실제로 디큐소가 운영 중인 자체 플랫폼에서는 AWS 기반 자동 배포 구조를 통해 주 1회 이상 안정적으로 기능을 릴리스하고 있습니다.

장점 3: 접근성과 협업 유연성

클라우드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이 가능해, 다국적 팀 또는 외주 파트너와 협업이 용이합니다. 실시간 변경사항 반영, 공용 테스트 환경 구성 등도 훨씬 효율적으로 이뤄집니다.

단점 1: 보안과 데이터 주권 이슈

클라우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만큼, 보안에 대한 우려는 항상 존재합니다. 특히 민감 정보를 다루는 B2B 시스템의 경우, 국내 서버 사용 여부, 암호화 방식, 접근 제어 체계 등에 대한 명확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디큐소는 이를 위해 고객사와 협의하여 VPC 구성, IAM 정책, 이중 인증 등을 설계한 경험이 있습니다.

단점 2: 예측 어려운 운영 비용

클라우드는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변동되므로, 예산 계획을 세우기 어렵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무분별한 리소스 사용이나 로그 누적, 과도한 트래픽 등은 예상치 못한 요금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디큐소는 클라우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경보 및 자동 최적화 정책을 운영합니다.

단점 3: 벤더 종속성(Lock-in)

특정 클라우드 플랫폼에 맞춘 아키텍처를 구축할 경우, 이후 타 플랫폼으로의 이전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큐소는 컨테이너 기반 구조 또는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제안하여 유연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도입은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지만, 각 기업의 기술 환경과 목표에 맞는 맞춤형 설계가 필수입니다. 디큐소는 최적의 맞춤형 설계 컨설팅과 개발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도입을 고민 중이라면, 지금 디큐소와 함께 클라우드 전략을 다시 설계해보시기 바랍니다.